web spri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P1xfU/btqwvL5GOXE/my2osrk6mKoHCCqZ12UzK1/img.jpg)
Github를 test 하면서 임시로 만든 저장소(프로젝트)를 삭제하려 합니다.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과정에서 블로그에 정리하려합니다. GIthub 사이트로 이동~ 회원가입을 했다는 전제에 삭제할 프로젝트를 선택합니다. 그럼 다음과 같은 화면에서 Settings 탭으로 이동하여 스크롤을 하단으로 내리면 Delete this repository 버튼이 나옵니다. 클릭해 주세요~ 그럼 모달창이 뜨면서 삭제할 저장소(프로젝트)명을 기입하라고 요구합니다. 적는란에 삭제할 저장소(프로젝트)명을 기입한 후 I understand the consequences, delete this repository 버튼을 눌러 주세요. 다음화면으로는 Github 비번을 요구합니다. 본인의 Github 비번을 적고 Co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ow0G/btqwrqnQOZC/k1KkEVz9mIdrqn06VFCCb1/img.jpg)
저 같은경우 개발언어를 사용하여 블로그에 글을 올릴경우가 많은데 새로워진 글쓰기 화면이 여간 적응이 안되었습니다. 기존 블로그에 소스코드를 넣을때 Color Scripter 사이트를 이용하여 넣곤 하였는데, 새로워진 티스토리 에디터 기능으로 '코드블럭' 이라는 메뉴를 알게 되었다. 매우 심플하고 간단해서 바뀐 부분중에 제일 장점이란 생각이 듭니다. 그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글을 쓰는 상단에 보면 여러가지 에디터 기능의 버튼들이 존재합니다. 그중에서 점3개(더보기) 모양을 클릭해 줍니다. 코드블럭이라는 메뉴가 존재하는데 클릭! 그럼 팝업으로 코드를 넣을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자신이 작성하는 언어의 개발언어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위의 사진처럼 저런 언어를 선택하여 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01nFm/btqwsX5vEgw/yuBENEq2xhColZgmB4BFFk/img.jpg)
a링크를 비활성화 하는 방법은 javascript나 jQuery 로 비활성 하는 방법이 있지만 css 속성을 통하여 비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css 를 이용하는것을 권하는 이유는 가볍게 무거움을 덜 뿐 아니라 특정 상태였을때 링크를 활성화하고 비활성화 하는것에 class 추가 또는 제거를 통해 가능하기 때문이죠.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아래와 같이 적용해 주세요. 네이버 바로가기 href 에 네이버로 연결할 수 있게 링크를 걸어 주었지만 실제 웹으로 화면을 확인하고 눌렀을때 네이버로 링크를 가지 않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ointer-events 의 속성으로 none 말고 다른속성값을 개발자모드로 확인해 보았습니다. 생각보다 여러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네요~ 속성값의 내용은 여기서 다루진 않고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