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HTML (5)
web sprit
JSX 란?React에서 UI를 만들 때 사용하는 JavaScript + HTML 혼합 문법입다.겉으로 보기에는 HTML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JavaScript 코드이며 React가 이를 화면으로 변환해줍니다.JSX를 사용하는 이유 (장점)1. UI 구조가 명확하여 읽기 쉽습니다.HTML 태그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직관적입니다.2. 에러를 초기에 잡을 수 있습니다.JSX는 문법이 엄격하여 실수를 빠르게 알려줍니다.3. 동적 UI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변수, 연산, 조건문 등을 {} 안에서 자유롭게 쓸 수 있습니다.4. 컴포넌트 기반 구조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UI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관리하기 좋습니다.JSX 문법 규칙1. 반드시 하나의 부모로 감싸서 반환해야 합니다.return ( Hel..
위와 같에 index_1.html 파일과 index_2.html 파일 2가지가 있습니다. 다른내용을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Compare Selected 비교 ① 사이드바 파일 목록에서 첫번째 비교할 파일을 마우스 좌클릭! ② 다음 비교할 파일을 Ctrl + 마우스 좌클릭을 하여 선택한다. ③ 선택된 영역에서 마우스 우클릭! ④ Compare Selected 를 선택하여 파일을 비교. Select for Compare 후 Compare with Selected 선택비교 ① 첫번째 비교할 파일을 마우스 우클릭 후 Select for Compare 선택 ② 다음 비교할 파일을 마우스 우클릭 후 Compare with Selected 선택 파일을 비교합니다.
윈도우11/10 IPv4, IPV6 네트워크 오류 액세스할 수 없습니다 문제 해결 방법 안녕하세요. DayB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윈도우11/10 IPv4, IPV6 네트워크 오류 액세스할 수 없습니... blog.naver.com 위 참고 사이트 ▲▲▲ 2, 3번 참고함. 내부 아이피로 웹페이지 모바일 테스트가 안될때 이 방법을 사용하고 와이파이로 모바일 접속이 가능하였습니다. npm 으로 가상서버를 만들든 vscode로 가상서버 만들어서 테스트 해도 내부망(와이파이)으로 모바일 테스트를 하려 했는데 화면을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설정이 아무리 이리저리 바꿔도 모바일 접속이 안됐는데, 이 방법으로 하고 나서 모바일로 내부망 접속이 가능해졌습니다.
브라우저에서 디자인 되어 확인 할 수 있는 화면의기본적인 HTML의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123456789101112 Document // body태그 안에서 화면에 그려지는 모습을 태그로 작성. cs ## 태그(tag)란 ? 이런 형식으로 되어 있는 것을 태그라 합니다.예) div 태그 span 태그 ## 태그 종류태그의 종류는 블록(block)태그, 인라인(inline)태그로 나뉩니다.예)block 태그 - div, p, ul, li, 등...inline 태그 - span, strong, em, 등.... ## 블록태그와 인라인태그의 차이점블록태그 - 수평의 영역을 다 차지한다.인라인태그 - 감싸고 있는 안의 영역만큼의 영역을 차지한다.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
나의 퍼블리셔 인생에서 HTML 문서의 Doctype 사용은XHTML 1.0 Transitional 과 html5 입니다. 기타 여러가지의 Doctype 버전을 알고 이해하려고 합니다. 평생 사용하지 않을 수 있지만 모르는것 보단 이해하고 사용하는 편이 좋겠죠~ ^&^ tip !!! 선언(DTD)은 대소 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Doctype의 선언(DTD)은 아래와 같습니다.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 cs
